과학과 철학 에세이/인지와 경험 69

모순적 개념

모순적 개념 1. ‘모순적인 개념’이란 무엇인가? ‘둥글면서면서 동시에 삼각형인 대상’과 같은 개념은 모순적인 개념을 대표하는 것으로 거론된다. 그런데 원 속에 삼각형이 들어 있는 형태의 대상은 ‘둥글면서 동시에 삼각형인 대상’이 아닌가? 이러한 반문을 피하기 위해, ‘둥글면서 동시에 삼각형인 대상’은 ‘둥근 삼각형인 대상’을 뜻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 말을 받아들인다면, 원 속에 삼각형이 들어 있는 형태의 대상은 ‘둥글면서 동시에 삼각형인 대상’은 아니다. 하지만 그 말은 ‘둥글면서 동시에 삼각형인 대상’이 모순적인 개념인 이유를 설명하지는 못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098168616 모순적 개념 * 다음 글은 10년 전에 ..

순응의 두 종류

순응의 두 종류 사회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어(Leon Festinger, 1919~1981)는 ‘순응(conformity)’을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하나는 ‘내재화(internalization)’이고, 다른 하나는 ‘굴종(compliance)’이다. 내재화는 개인이 믿는 바에 따라 선택 행위가 나타나는 경우를 일컫는다. 반면에 굴종은 자신이 믿는 바에 반하여 선택 행위가 나타나는 경우를 일컫는다. 이론적인 '내재화'와 '굴종' 개념을 일상적 용어로 대체시키는 경우, '믿음과 행동이 일치하는 순응'과 '믿음과 행동이 불일치하는 순응'이라는 용어를 택할 수 있다. 또 이렇게 함으로써 '굴종'에 함축된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다. '믿음과 행동이 일치하는 순응'과 '그렇지 않은 순응'의 구분을 도식..

단칭 진술의 문제

단칭 진술의 문제 1. 과거 전통의 논리학, 곧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시작해 르네상스 시절까지 서양 지성사를 지배했던 논리학은 ‘항논리’(term logic)로 대표되곤 한다. 항논리에서 의미의 논리적 단위는 ‘보편적인 개념’(universal concept)이다. ‘개’, ‘사람’, ‘물고기’와 같은 개념들은 몸무게 몇 킬로그램의 구체적인 개체가 아니라 개들, 사람들, 물고기들을 나타낸다. 범주 삼단논법은 그러한 개념들이 나타내는 류(class) 사이의 관계를 따지는 항논리의 일종이며, 정언명제라고 불리는 것은 그러한 관계를 함축한 내용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반면에 진술 및 술어논리로 대표되는 현대 논리학에서 의미의 논리적 단위는 진술이다. 전제에서 확실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연역 논증의 논리적 형태(lo..

유니콘 (존재 도입의 문제)

* 중세 브리당이 활약했던 시절까지 유행했던 논리학은 지금 우리가 배우는 논리학과 다르다. '항 논리(term logic)'이러 불렷던 그 논리학에서는 참 거짓 판단의 단위가 지금처럼 진술이 아니었다. 항 논리는 그 나름대로의 장점을 갖고 있지만, 현대 논리학에 비해 두 가지 약점을 갖고 있다. 첫째, 항 논리는 단칭 진술을 다룰 수 없다는 약점을 갖고 있다. 둘째, 항 논리는 존재 도입을 다룰 수 없다는 약점을 갖고 있다. 다음의 [사고훈련 유니콘]은 내가 가르치는 10-14세 아이들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것이다. 하지만 논리학을 공부하는 학생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다음 사고훈련을 바탕으로 항 논리의 두 번째 약점에 대해 지적하고 설명해 보도록 하는 것이다. (아무튼 애들이 ..

출생 순서: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수정)

출생 순서 과장된 광고인줄 알면서도 사람들은 잘 속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로 좋은 결과를 믿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기대심리일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결과만이 시청자의 눈에 드러날 뿐 그 결과를 산출한 과정이 은폐된 것에 기인한다. 많은 과대광고는 두 현상 P, Q 사이의 어떤 통계적 상관관계(corelation)를 보여준 후 마치 Q가 P의 원인인 것처럼 사람들을 홀린다. 그러나 두 현상 사이에 상관관계가 성립한다고 해도 Q가 항상 P의 원인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게다가 두 현상 P와 Q 사이에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는 경우에도 Q가 P의 원인이라는 통념이 사람들을 지배하기도 한다. 실례로 제일 먼저 태어난 아들이 상대적으로 책임감이 강하다는, 혹은 아버지와 사이가 좋지 않다는 통념을 들 수..